“경훈아, 엄마가 널 위해 마지막으로 해줄 수 있는 일이 뭘까” [정치왜그래?]
장례를 치르고 집에 왔는데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. 뜬눈으로 빨래를 돌렸습니다. 빨래 더미 속에서 아들의 속옷이 나왔습니다. 눈길 닿는 곳마다 아들의 흔적이 얽혔습니다. “엄마"하고 문을 열고 들어올 것만 같았습니다. 텅 빈 아들의 방을 바라보며 어머니는 대답없는 질문을 묻고, 또 물었습니다.
“아들아, 내 아들아. 네 죽음이 억울하지 않게, 헛되지 않게, 엄마가 할 수 있는 일이 뭐가 있을까. 엄마가 널 위해 마지막으로 뭘 해주면 될까.”
고 이경훈. 1995년생. 10월29일 이태원 골목에서 숨진 158명 중 한 명입니다. 어머니의 시간은 그날 이후 멈췄습니다. 참사 발생 42일만인 지난 12월10일 ‘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’가 공식 출범했습니다. 아무도 자신의 심정을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어머니는 그곳에서 처음, 온전히 이해받았습니다.
[영상] “권력이 158명의 목숨보다 소중한 것인지 묻고 싶다” 이태원 참사 희생자 어머니의 외침 [정치왜그래?]
경훈씨 어머니가 바라는 것은 단 하나입니다. 더 이상 같은 참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. 희생자 158명이 조금이나마 위로받는 세상을 만드는 것입니다. 그러기 위해선 진상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이 필수입니다. 158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 재난의 책임자 중 한 명인 이상민 행안부 장관이 직을 유지하고 있는 한, ‘철저한’ 진상 규명은 어려울 것이라는 게 유족들의 입장입니다. 경훈씨 어머니는 말합니다. “책임지고 그 자리에서 내려오는 것이 이 목숨보다 소중한가요. 묻고 싶어요.”